유엔 환경 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환경 계획(UNEP)은 1972년 스톡홀름 회의에서 논의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설립된 유엔 산하 기구이다. 나이로비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기후 변화, 재난 및 갈등, 생태계 관리, 환경 거버넌스, 환경 검토, 화학 물질 및 폐기물, 자원 효율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몬트리올 의정서, 미나마타 협약 등 주요 성과를 거두었으며, 유엔 환경 총회를 통해 의사 결정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로비에 본부를 둔 유엔 기구 - 유엔 나이로비 사무국
유엔 나이로비 사무국(UNON)은 케냐 나이로비에 위치하며 유엔 환경 계획(UNEP)과 유엔 인간 정주 계획(UN-Habitat)의 본부를 지원하고, 동아프리카 지역의 모의 유엔 회의를 주최하며 케냐 경제에 기여하는 유엔 기구의 사무국이다. - 나이로비에 본부를 둔 유엔 기구 - 유엔 인간 주거 계획
유엔 인간 주거 계획(UN-Habitat)은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선도하기 위해 각국의 도시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기술 지원, 연구 및 정보 공유 등의 활동을 수행하는 유엔의 주요 기구이다. - 유엔 환경 계획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1988년에 공동 설립한 정부간 기구로서, 독자적인 연구 없이 기존 과학 논문들을 평가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평가보고서와 특별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의 위험, 영향, 완화 및 적응 방안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등 국제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쳐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유엔 환경 계획 - 2009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2009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 회의로, 교토 의정서 이후의 기후 변화 대응 방안 논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시, 개발도상국 지원 합의를 목표로 했으나, 구속력 있는 감축 목표 설정 실패로 코펜하겐 합의를 이끌어냈으며, 이후 파리 협정 체결의 기반이 되었다. - 1972년 환경 - 유엔 인간 환경 회의
1972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 인간 환경 회의는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 행동을 촉구하고 스톡홀름 선언을 채택하여 유엔환경계획(UNEP) 설립으로 이어졌으나, 많은 계획이 이행되지 못했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노력과 청년 세대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 1972년 환경 - 성장의 한계
성장의 한계는 1972년 로마 클럽의 의뢰로 MIT에서 작성된 보고서로, 세계 인구, 산업화, 오염, 식량 생산, 자원 고갈이라는 5가지 변수를 바탕으로 지구의 성장 한계를 분석하여 현재의 성장 추세가 지속될 경우 100년 이내에 지구의 한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지속 가능한 생태적, 경제적 안정을 위한 정책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유엔 환경 계획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유엔 환경 계획 |
영어 명칭 |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
약칭 | UN Environment, UNEP |
프랑스어 명칭 | Programme des Nations unies pour l'environnement |
중국어 명칭 | 联合国环境署 |
러시아어 명칭 | Программа Организация Объединённых Наций по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е |
스페인어 명칭 | Programa de las Naciones Unidas para el Medio Ambiente |
아랍어 명칭 | برنامج الأمم المتحدة للبيئة |
유형 | 계획 |
설립일 | 1972년 6월 5일 |
본부 | 케냐 나이로비 |
웹사이트 | 유엔 환경 계획 공식 웹사이트 |
모기관 | 국제 연합 |
지도자 | |
대표 | 사무총장 |
현 대표 | 잉에르 안데르센 (2019년~) |
현 대표 국적 | 덴마크 |
조직 및 활동 | |
주요 활동 | 기후 변화 녹색 경제 |
관련 기구 | 세계자연보전감시센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지구환경기금 |
협약 사무국 | 몬트리올 의정서 |
유엔 개발 그룹 | 유엔 개발 그룹 |
기타 | |
약칭 | UNEP |
2. 역사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의 결정에 따라 1973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70] 유엔 환경 계획(UNEP)은 환경 문제에 관한 국제적인 활동을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새로운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유엔 산하 기구이다. 케냐의 나이로비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이는 개발도상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유엔 기구이다.[68]
UNEP는 설립 이후 환경 관련 국제기구나 각국 정부에 기술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하며 전 지구적인 환경 보전 활동을 지원해왔다. 주요 활동으로는 몬트리올 의정서, CITES(워싱턴 조약), 본 협약, 바젤 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등 다수의 중요한 국제 환경 협약의 협상을 주도하고 사무국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2000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기반을 둔 세계자연보전감시센터(WCMC)를 UNEP 산하 기구로 통합하여 환경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을 강화했다.
한국은 1972년 스톡홀름 회의 이후부터 UNEP의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2. 1. 설립 배경
1970년대에는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나, 특히 개발도상국들을 중심으로 환경 거버넌스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아직 부족했다. 일부 국가들은 환경 보호가 빈곤국의 당면 과제가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했다.[11] 이러한 상황에서 캐나다 외교관 모리스 스트롱은 많은 개발도상국 정부에게 환경 문제의 중요성을 설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나이지리아의 아데바요 아데데지(Adebayo Adedeji) 교수는 "스트롱 씨는 진심 어린 옹호를 통해 우리 모두, 발전 단계에 관계없이 이 문제에 큰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분명히 했습니다."라고 평가했다.[11]이러한 국제적 논의를 바탕으로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인간환경에 관한 유엔회의(스톡홀름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오염, 해양 생물 보호, 자원 보존, 환경 변화 등 광범위한 주제가 다루어졌으며, 그 결과로 《인간환경선언》(스톡홀름 선언)과 '환경 국제 행동 계획'이 채택되었다.[70] 또한, 이 회의의 결정에 따라 환경 문제를 전담할 관리 기구의 설립이 결정되었고, 이 기구가 바로 유엔환경계획(UNEP)이다. UNEP는 1973년 유엔총회 결의 2997호에 따라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2][70]
UNEP 본부 위치 선정 과정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의견 차이가 있었다. 선진국들은 다른 유엔 기구들이 위치한 제네바를 선호했지만, 개발도상국들은 남반구에 본부를 두는 최초의 국제기구라는 상징성을 고려하여 케냐의 나이로비를 강력히 지지했다. 초기에는 멕시코시티, 뉴델리, 카이로 등도 유치 경쟁에 나섰으나, 결국 나이로비를 지지하며 후보지에서 철회했다.[11]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새로운 환경 기구 설립 자체보다는 "남반구 연대"의 차원에서 나이로비 유치를 지지하며 UNEP 설립에 힘을 보탰다.[15] 최종적으로 본부는 나이로비에 설치되었으며, 이는 개발도상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유엔 기구가 되었다.[68] 설립 초기 5년간 운영 기금으로 1억달러 이상이 조성되었는데, 이 중 미국이 4000만달러를 약속했고 나머지 금액은 50개국이 분담하여 마련했다.[13]
2. 2. 설립 과정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스톡홀름 회의)는 유엔 환경 계획(UNEP) 설립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인간환경선언(스톡홀름 선언)이 채택되었고, 환경 문제를 관리할 국제기구 설립이 결정되었다.[12][70]당시 개발도상국 중 일부는 환경 문제가 당장의 우선순위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으나, 캐나다 외교관 모리스 스트롱의 적극적인 설득 노력을 통해 환경 문제의 중요성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스트롱은 개발 단계와 관계없이 모든 국가가 환경 문제에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했다.[11]
스톡홀름 회의의 결정에 따라 1973년 유엔총회 결의 2997호가 채택되면서 유엔 환경 계획(UNEP)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2] 모리스 스트롱이 초대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본부 위치 선정 과정에서는 선진국들이 기존 유엔 기구가 많은 제네바를 선호했지만, 개발도상국들은 남반구에 본부를 두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며 케냐의 나이로비를 강력히 지지했다. 멕시코시티, 뉴델리, 카이로 등 다른 후보 도시들이 나이로비를 지지하며 철회하면서, 결국 나이로비가 본부로 결정되었다.[11] 이는 UNEP를 개발도상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유엔 기구로 만들었다.[15][68]
UNEP는 초기 100명의 전문가를 포함한 300명의 직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운영을 위해 5년간 1억달러 이상의 기금이 조성되었다. 이 중 미국이 4000만달러를 약속했고, 나머지 금액은 50여 개국이 분담했다.[12][13] UNEP의 재정은 회원국들의 자발적인 기여로 충당된다.[12]
한국은 1972년 스톡홀름 회의 이후부터 UNEP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2. 3. 주요 이정표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인간환경에 관한 유엔회의(스톡홀름 회의)의 결정에 따라 1973년에 설립된 이후, 유엔 환경 계획(UNEP)은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이끌고 다양한 국제 환경 협약의 체결과 이행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UNEP는 여러 국제 환경 협약의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주요 협약들의 사무국 역할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오존층 보호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 UNEP는 이 의정서의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다.
-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 워싱턴 조약)
- 이주성 야생동물보호협약(CMS, 본 협약)
- 유해 폐기물 국가 간 이동 통제에 관한 바젤 협약
- 생물다양성협약
-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

설립 초기인 1974년부터 1986년까지 UNEP는 산림 및 수자원 관리, 해충 방제, 오염 모니터링, 화학 물질 사용과 건강의 관계, 산업 관리 등 다양한 환경 분야에 걸쳐 200개 이상의 기술 지침 또는 매뉴얼을 발간하며 국제 사회의 환경 관리 역량 강화에 기여했다.[14]
2000년에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본부를 두고 세계 자연 보전 연맹(IUCN)의 후원을 받던 세계자연보전감시센터(WCMC)를 UNEP 산하 기구로 통합하여, 생물다양성 관련 정보 수집 및 평가 역량을 더욱 강화했다.
3. 거버넌스
유엔 환경 계획(UNEP)은 유엔 산하 기관으로서 환경 관련 활동을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새로운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많은 국제 환경 조약의 협상을 주도하여 성립시켜왔다. 대표적으로 몬트리올 의정서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으며,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 본 협약, 바젤 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등 여러 중요한 국제 환경 협약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UNEP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는 유엔환경총회(UNEA)이다. UNEP의 조직은 천연자원부, 지속가능한 생산 및 소비부, 세계화부 등 5개 부서로 나뉘어 운영된다. 본부는 케냐 나이로비에 위치하며, 이는 개발도상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유엔 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68] 산하 기관으로는 세계자연보전감시센터(WCMC)가 있다. 한국은 UNEP 설립 논의가 시작된 1972년부터 참여하고 있다.
3. 1. 사무총장

유엔 환경 계획(UNEP)의 행정적 수장은 사무총장이며, 유엔 사무총장이 임명한다. 사무총장은 UNEP의 활동을 총괄하고 국제 환경 의제를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972년 12월, 유엔 총회는 모리스 스트롱(Maurice Strong)을 만장일치로 초대 UNEP 책임자로 선출했다. 그는 1972년 유엔 인간 환경 회의와 1992년 지구 정상 회의의 사무총장도 역임한 인물이다.
모리스 스트롱의 뒤를 이어 모스타파 카말 톨바가 1975년부터 1992년까지 17년간 사무총장직을 맡았다. 그는 환경 문제를 국제 사회의 주요 의제로 끌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재임 기간 중 가장 큰 성과로 평가받는 1987년 오존층 보호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 체결을 이끌었다.
이후 엘리자베스 다우드스웰(1992~1998), 클라우스 툽퍼(1998~2006), 아힘 슈타이너(2006~2016), 에릭 솔하임(2016~2018)이 차례로 사무총장직을 수행했다.
에릭 솔하임이 사임한 후, 조이스 무샤가 2018년 11월부터 사무총장 권한대행을 맡았다.[16] 2019년 2월,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인거 안데르센을 UNEP 사무총장으로 임명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7]
# | 사진 | 이름 (출생-사망) | 국적 | 취임 | 퇴임 |
---|---|---|---|---|---|
1 | ![]() | 모리스 스트롱[18] (1929–2015) | 캐나다 | 1972 | 1975 |
2 | ![]() | 모스타파 카말 톨바 (1922–2016) | 이집트 | 1975 | 1992 |
3 | ![]() | 엘리자베스 도즈웰 (1944년생) | 캐나다 | 1992 | 1998 |
4 | ![]() | 클라우스 퇴퍼 (1938–2024) | 독일 | 1998 | 2006 |
5 | ![]() | 아힘 스타이너 (1961년생) | 브라질 | 2006 | 2016 |
6 | ![]() | 에릭 솔하임 (1955년생) | 노르웨이 | 2016 | 2018 |
7 | ![]() | 조이스 무샤 (권한대행) (1968년생)''' | 탄자니아 | 2018 | 2019 |
8 | ![]() | 잉거 안데르센 (1958년생) | 덴마크 | 2019 | 현재 |
3. 2. 유엔환경총회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유엔환경총회는 유엔 환경 계획(UNEP)의 의사결정 기구이다. 2012년에 지구환경회의를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현재 193개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고 2년마다 회의를 개최한다.[19][20]4. 조직
유엔 환경계획(UNEP)은 환경에 관한 제반 활동을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지휘하며, 새로운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유엔 산하 기관이다. 많은 국제 환경 조약의 협상을 주도하여 성립시켜왔으며, 대표적으로 몬트리올 의정서 사무국을 맡고 있다. 또한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 워싱턴 조약), 본 조약, 바젤 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등의 관리도 담당하고 있다.[68]
UNEP의 조직은 현재 8개의 주요 부서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21] 본부는 케냐 나이로비에 위치하며, 이는 개발도상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유엔 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68] 하부 조직으로는 세계자연보전감시센터가 있다.
2023년 현재 사무총장은 2019년 2월에 취임한 잉거 안데르센( Inger Anderseneng )이다.[69]
4. 1. 본부 및 지역 사무소
유엔 환경 계획(UNEP)의 본부는 케냐 나이로비에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에 본부를 둔 최초의 유엔 기구이다.[68]지역 사무소는 다음과 같다.
4. 2. 주요 부서
UNEP의 조직은 다음과 같은 8개 부서로 구성된다.[21]# 과학부 (Science Division):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환경 평가 및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계 환경의 현황을 보고하고, 정책을 평가하며, 새로운 환경 위협에 대한 조기 경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2030 의제 및 지속가능발전목표와 관련된 환경 모니터링 및 보고를 담당한다.
# 정책 및 프로그램 부서 (Policy and Programme Division): UNEP의 정책 및 프로그램을 수립한다. 이 부서는 다른 부서들의 조정을 담당한다.
# 생태계 부서 (Ecosystems Division): 국가들이 생태계를 보전, 복원 및 관리하는 것을 지원한다. 재해 및 갈등의 환경적 원인과 결과를 다룬다. 국가들이 육상 활동으로 인한 오염을 줄이고, 기후변화 적응력을 높이며, 개발 계획에 환경을 고려하도록 지원한다.
# 경제 부서 (Economy Division): 대기업들이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노력을 지원한다. 화학 및 보건, 에너지 및 기후, 자원 및 시장의 세 가지 주요 분야로 구성된다.
# 거버넌스 업무 사무소 (Governance Affairs Office): UNEP의 업무를 활용하도록 회원국 및 기타 관련 단체들과 협력한다. 이 사무소는 UNEP의 의사결정 기구인 유엔환경총회(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와 그 산하 기구인 상임대표위원회(Committee of Permanent Representatives)를 지원하고 회의를 관리한다. 환경에 대한 권위 있는 목소리로서 총회의 가시성, 권한 및 영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 법률 부서 (Law Division): 환경법 개발을 지원한다. 국가들과 협력하여 환경범죄와 싸우고 국제 환경 약정을 이행한다. 법률 부서는 전 세계 환경 법률 제정자 간의 협력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커뮤니케이션 부서 (Communication Division): UNEP의 메시지를 개발하고 보급한다. 디지털 및 전통 미디어 채널을 통해 정부와 개인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 기업 서비스 부서 (Corporate Services Division): 관리 및 재정적 위험 노출 등 UNEP의 기업적 이해관계를 처리한다.
5. 활동
유엔 환경 계획(UNEP)은 환경에 관한 제반 활동을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지휘하며, 새로운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 또한, 환경과 관련된 다른 국제기구나 국가에 재정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환경 보전 활동을 돕는다. UNEP는 여러 중요한 국제 환경 협약의 성립을 지원하고 그 관리를 맡고 있기도 하다.
UNEP의 주요 활동 분야는 다음과 같다.[2]
- 기후변화[22]
- 재난과 갈등[24]
- 생태계 관리[26]
- 환경 거버넌스[27]
- 환경 검토[28]
- 화학 물질과 폐기물[30]
- 자원 효율성[31]
우리나라는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 이후부터 UNEP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5. 1. 기후 변화
유엔 환경 계획(UNEP)의 주요 활동 분야 중 하나는 기후변화 대응이다.[2][22] UNEP는 정부 기관의 기후 회복력 강화를 위한 노력에 참여하며, 특히 기후변화에 대한 영토 접근 방식(Territorial Approach to Climate Change, TACC)의 파트너로서 활동한다.[23]
5. 2. 재난과 갈등
UNEP는 비상 사태나 자연재해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미래의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노력한다.[25] 생태계의 균형을 조절하여 재난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줄이는 데 기여하며, 재난 위험 감소(DRR)를 목표로 하는 센다이 재해 위험 감소를 위한 센다이 강령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25] 자연재해 예방뿐만 아니라, 각국이 재해로 인한 심각한 피해를 막기 위한 법률이나 정책을 만들도록 돕는다.[25] 1999년부터 40개국 이상이 재난의 영향에서 벗어나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25]5. 3. 생태계 관리
생태계 관리는 유엔 환경 계획(UNEP)의 주요 활동 분야 중 하나이다.[26]5. 4. 환경 거버넌스
UNEP는 유엔 시스템 내에서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협력을 이끌고 조정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전 지구적 환경 거버넌스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것으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규범과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각국 정부와 기관들이 이를 효과적으로 이행하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포함한다.[27]UNEP는 특히 여러 중요한 국제 환경 협약의 제정 과정을 주도하고, 협약의 이행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를 통해 국제 환경법의 발전에 기여하며,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 사회의 공동 노력을 조직하고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UNEP가 사무국을 운영하거나 관리를 담당하는 주요 국제 환경 협약은 다음과 같다.
협약 명칭 | 비고 |
---|---|
몬트리올 의정서 | 오존층 파괴 물질 규제 |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 | 통칭 워싱턴 조약 |
이주성 야생동물보호협약(CMS) | 통칭 본 협약 |
바젤 협약 | 유해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처리 통제 |
생물 다양성 협약(CBD) | 생물 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 | 수은으로 인한 환경 및 건강 피해 방지 |
5. 5. 환경 검토
유엔 환경 계획(UNEP)은 정부, 비정부기구(NGO) 및 일반 대중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전 세계 환경 현황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를 제공한다.[28][29] 이는 이해관계자들이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9]UNEP가 제공하는 정보는 최신 과학 연구 결과에 기반하며 체계적으로 수집되어 신뢰도가 높다.[29] 이를 통해 각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환경 정보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정책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29] 또한, 환경 전망이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에 관심 있는 모든 이해관계자는 관련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29]
UNEP는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UN 환경 라이브 플랫폼(UN Environment Live Platformeng)과 환경 연구 온라인 접근(Online Access to Research in the Environment|OAREeng)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며, 이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29]
5. 6. 화학 물질과 폐기물
UNEP의 주요 활동 분야 중 하나는 화학 물질과 폐기물 관리이다.[30] 이는 유해 화학 물질과 폐기물의 건전한 관리를 촉진하고, 관련 국제 협약의 이행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된 주요 국제 협약으로는 다음이 있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 몬트리올 의정서
- 생물다양성협약
- 바젤협약
-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
5. 7. 자원 효율성
UNEP의 주요 활동 중 하나는 자원 효율성과 관련이 있다.[31]6. 주요 성과
유엔환경계획(UNEP)은 설립 이후 지구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을 조율하고 지원하며 여러 중요한 성과를 이루어냈다. 주요 활동으로는 국제 환경 협약의 체결을 주도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들 수 있다. 대표적으로 오존층 파괴 물질 규제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와 유해 수은 사용 제한을 목표로 하는 미나마타 협약의 성립에 기여했으며, 이들 협약의 사무국 운영 및 관리를 지원하고 있다.[32] 또한, 생물다양성협약, CITES(워싱턴 조약), 본 협약, 바젤 협약 등 다양한 국제 환경 협약의 관리에도 참여하고 있다.[68]
협약 관리 외에도 개발도상국의 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인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초기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했으며[33], 전쟁 등으로 심각하게 훼손된 이라크 습지의 복원을 위한 환경 관리 지원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34] 더불어 미래 세대의 환경 인식을 높이기 위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툰자(Tunza)'와 같은 환경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35] 이러한 활동들은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한 UNEP의 핵심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6. 1. 몬트리올 의정서
유엔 환경 계획이 주도하여 성립시킨 대표적인 국제 환경 협약 중 하나이다. 1987년 채택된 이 의정서는 지구의 보호막인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진 특정 화학 물질의 생산과 소비를 단계적으로 감축하여 궁극적으로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32] 유엔 환경 계획은 몬트리올 의정서 사무국을 맡아 협약의 이행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유엔 환경 계획의 가장 중요한 성공 사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32]6. 2. 생물다양성협약
유엔 환경 계획(UNEP)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을 조율하고 새로운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 과정에서 UNEP은 수많은 국제 환경 협약의 협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체결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32][68] 대표적인 예 중 하나로,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목표로 하는 생물다양성협약의 성립을 주도했으며, 현재 이 협약의 관리에도 참여하고 있다.[68]6. 3.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
유엔환경계획(UNEP)은 여러 국제 환경 협약의 협상을 주도하고 성립시키는 데 기여해왔으며, 주요 성공 사례 중 하나로 2017년의 미나마타 협약을 들 수 있다.[32] 이 협약은 유독성 수은으로부터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UNEP은 이 협약의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6. 4. 기타 성과
유엔환경계획은 개발도상국에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대표적인 성공 사례 중 하나는 태양열 대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초기 설치 비용 부담을 줄여 소비자들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인도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약 10만 명이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자금을 지원받았다.[33] 인도의 성공에 힘입어 튀니지, 모로코,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 다른 개발도상국에서도 유사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또한, 이라크의 심각한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했다. 2001년 유엔환경계획은 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이라크 습지의 90%가 사라졌다고 경고했으며, 2004년부터는 "이라크 습지 환경 관리 지원"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방식으로 습지 지역을 관리하는 것을 지원하고 있다.[34]
미래 세대를 위한 환경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툰자(Tunza)'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청소년을 위한 환경 교육(AEO for Youth)과 같은 하위 프로젝트를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개선과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35]
7. 국제 협력
유엔 환경 계획(UNEP)은 다양한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인식을 높이고 협력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후변화 대응'''
UNEP는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국제적인 대응을 촉구해왔다. 1989년에는 지구 온난화 추세가 계속될 경우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일부 국가가 사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37][38] 2005년에는 유엔 대학교(United Nations University)와 함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2010년까지 최대 5천만 명의 환경 난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을 발표하기도 했다.[39]
또한, 2008년에는 전 세계적인 빙하 감소 속도가 기록적이며, 수십 년 안에 많은 빙하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고 발표했다. 당시 약 30개 빙하를 조사한 결과, 2006년 한 해 동안 평균적으로 1.5m 두께의 얼음이 사라졌으며, 특히 노르웨이의 브라이달블리크브레아(Breidalblikkbrea) 빙하는 3.1m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부터 1999년까지 연평균 0.3m씩 줄어들던 빙하 두께는 2000년대 들어 연평균 0.5m로 감소폭이 커졌다.[40]
'''지속 가능한 기술 및 경제 모델 촉진'''
UNEP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술 및 경제 모델 전환을 지원한다. 2008년 독일 마그데부르크에서 열린 환경 포럼에서는 자동차 제조사 다임러(Daimler AG)와 함께 전기 자동차 보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41]
또한, 순환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도 참여하고 있다. UNEP는 엘렌 맥아더 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 등과 함께 '순환 경제 가속화 플랫폼'(Platform for Accelerating the Circular Economy)의 공동 의장이자 창립 파트너로서 활동하며, 전 세계 50개 이상의 기관 및 정부가 참여하는 이 민관 파트너십을 통해 순환 경제 이행을 지원한다.[42]
'''국제 환경 조약 관리'''
UNEP는 여러 중요한 국제 환경 조약의 협상을 주도하고 이행을 관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오존층 보호를 위한 몬트리올 의정서 사무국을 운영하고 있으며, 멸종위기종 국제거래협약(CITES), 이주성 야생동물보호협약(본 조약), 바젤 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등 다수의 환경 관련 조약 관리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7. 1. 지역 해양 프로그램 (Regional Seas Programme)
1974년에 설립된 이 프로그램은 지역 차원에서 해양을 보호하기 위한 세계 유일의 법적 프로그램이다. 143개국 이상이 지역 해역 협약 및 행동 계획(RSCAP)에 따라 설립된 18개의 지역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이 중 14개는 헬싱키 협약, 오슬로 협약, 바르셀로나 협약 또는 부쿠레슈티 협약과 같이 법적 구속력을 가진 국제 협약에 기반한다.[43]지역해 협약 및 행동계획(RSCAP)에 포함되는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다.[43]
지역 | 포함 해역/분지 |
---|---|
카리브해 지역 | 카리브해 |
동아시아 해역 | 동아시아 인근 해역 |
동아프리카 지역 | 동아프리카 인근 해역 |
지중해 분지 | 지중해 |
북서 태평양 지역 | 북서 태평양 |
서아프리카 지역 | 서아프리카 인근 해역 |
카스피해 | 카스피해 |
흑해 지역 | 흑해 |
북동 태평양 지역 | 북동 태평양 |
홍해 및 아덴만 | 홍해 및 아덴만 |
ROPME 해역 | 페르시아만 |
남아시아 해역 | 남아시아 인근 해역 |
남동 태평양 지역 | 남동 태평양 |
태평양 지역 | 태평양 도서 지역 |
북극 지역 | 북극해 |
남극 지역 | 남극해 |
발트해 | 발트해 |
북동 대서양 지역 | 북동 대서양 |
각 프로그램은 같은 바다를 공유하는 국가들로 구성되어 지역 차원에서 해당 해역을 관리하며, 사무국, 지역 조정 단위, 지역 활동 센터가 운영을 맡는다.[43] UNEP는 교육 및 훈련을 통해 국제 협약을 홍보하며 해양 보호에 기여한다.[44]
1975년 설립된 유엔환경계획(UNEP/MAP)의 지중해 행동 계획은 지역 해양 프로그램의 첫 번째 사례이다.[45]
7. 2. 국제환경교육프로그램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 1975-1995)
1975년부터 1995년까지 20년 동안 유네스코(UNESCO)와 유엔 환경 계획(UNEP)은 국제환경교육프로그램(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 IEEP)을 공동으로 주도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교육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976년, 유네스코는 이 프로그램의 공식 기관으로서 환경 교육 뉴스레터인 ''Connect''를 발간하기 시작했다. 이 뉴스레터는 2007년까지 발행되었으며, 일반적인 환경 교육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IEEP의 목표와 활동을 알리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환경 교육에 관심이 있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관 및 개인들을 위한 네트워크 역할도 담당했다.[36]
8. 한국과의 관계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의 결정에 따라 1973년 설립된 국제 연합 산하 기구이다. 유엔 환경 계획(UNEP)은 환경 문제에 관한 국제적인 활동을 종합적으로 조정하고 새로운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은 UNEP 설립 초기부터 참여하여 국제 사회의 환경 보전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8. 1. 협력 현황
대한민국은 1972년 국제 연합 인간 환경 회의 이후 유엔 환경 계획(UNEP) 설립 초기부터 참여해 왔다. UNEP은 환경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 여러 국제 환경 조약의 관리를 담당하는 등[68] 국제 사회의 환경 보전 노력을 이끌고 있다.주요 국제 협력 사례로는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국제연합환경개발회의(리우 회의)가 있다. 이 회의는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지구 환경 보전을 목표로 열렸다. UNEP은 몬트리올 의정서 사무국을 운영하며, CITES(워싱턴 조약), 본 협약, 바젤 협약, 생물다양성협약 등의 관리를 통해 지속적인 국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8. 2. 한국 관련 인물
(내용 없음)9. 개혁
2007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제4차 평가보고서 발표 이후, 당시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는 UNEP를 세계보건기구(WHO)처럼 더 강력한 "유엔 환경 기구"로 대체하자고 제안했다. 이 제안은 "파리 행동 촉구"로 알려졌으며, 유럽 연합 국가들을 포함한 46개국의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은 이 제안에 참여하지 않아 한계를 보였다.[61]
이후 2012년 12월, 리우+20 정상회의 결과에 따라 유엔 총회는 UNEP의 기능을 "강화하고 격상"시키기로 결정했다. 또한, UNEP의 의결 기구를 기존의 5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집행위원회 방식에서 모든 유엔 회원국이 참여하는 보편적 회원 제도로 개편하기로 했다. 이 새로운 의결 기구는 유엔환경총회(UN Environment Assembly, UNEA)로 불리며, 2014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했다.[62][63]
참조
[1]
웹사이트
Funds, Programmes, Specialized Agencies and Others
https://www.un.org/e[...]
2014-11-18
[2]
웹사이트
About UN Environment Programme
https://web.archive.[...]
2019-02-10
[3]
웹사이트
Climate Change
https://www.unep.org[...]
2021-01-01
[4]
웹사이트
Green Economy
https://www.unep.org[...]
2021-01-01
[5]
웹사이트
About » UNDG at the Global Level » UNDG
https://undg.org/abo[...]
2017-09-03
[6]
웹사이트
Secretariats and Conventions
https://www.unep.org[...]
2017-10-30
[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PCC
https://www.ipcc.ch/
[8]
웹사이트
Global Environment Facility
http://www.unep.org/[...]
2022-03-02
[9]
웹사이트
About Montreal Protocol
http://www.unep.org/[...]
2022-03-02
[10]
웹사이트
Why does UN Environment Programme matter?
https://www.unep.org[...]
2017-09-28
[11]
논문
Designing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a story of compromise and confrontation
2007-11-23
[12]
논문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An Assessment
1990-01-01
[13]
웹사이트
Environment Fund
http://www.unenviron[...]
2019-04-22
[14]
논문
The United Environment Programme(UNEP)
1989-01-01
[15]
논문
Developing Countries and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From Contestation to Participation to Engagement
2005-01-01
[16]
뉴스
Tanzanian appointed to head U.N. Environment Programme
http://www.africanew[...]
AfricaNews
2018-11-23
[17]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 Appoints Inger Andersen of Denmark Executive Director of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Following Election by General Assembly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www.un.org/p[...]
2020-08-03
[18]
서적
Development Without Destruction: The UN and Global Resourc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UN Environment Assembly and Governing Council
https://web.archive.[...]
UNEP
2019-03-10
[20]
R
Change of the designation of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3-03-13
[21]
웹사이트
UN Environment divisions
http://www.unenviron[...]
2020-02-11
[22]
웹사이트
Climate Action
http://www.unep.org/[...]
2022-03-02
[23]
웹사이트
Territorial Approach to Climate Change (TACC) {{!}} UNDP Climate Change Adaptation
https://web.archive.[...]
2022-03-17
[24]
웹사이트
Disasters & conflicts
http://www.unep.org/[...]
2022-03-02
[25]
웹사이트
Why do disasters and conflicts matter?
http://www.unenviron[...]
2019-03-02
[26]
웹사이트
Nature Action
http://www.unep.org/[...]
2022-03-02
[27]
웹사이트
Environmental rights and governance
http://unep.org/expl[...]
2022-03-02
[28]
웹사이트
Environment under review
http://www.unep.org/[...]
2022-03-02
[29]
웹사이트
Environment under review
http://www.unenviron[...]
2019-04-23
[30]
웹사이트
Chemicals & pollution action
http://www.unep.org/[...]
2022-03-02
[31]
웹사이트
Resource efficiency
http://www.unep.org/[...]
2022-03-02
[32]
뉴스
Reformed U.N. formula for making planet greener to get first test
https://www.reuters.[...]
2023-02-12
[33]
웹사이트
Solar loan programme in India
http://webarchive.lo[...]
2007-09-19
[34]
웹사이트
UNEP Marshland project in Middle East
http://marshlands.un[...]
2007-10-06
[35]
웹사이트
AEO-for-Youth
https://web.archive.[...]
[36]
서적
Issues and trend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37]
뉴스
U.N. Predicts Disaster if Global Warming Not Checked
https://www.apnews.c[...]
2019-02-25
[38]
웹사이트
U.N. Predicts Disaster if Global Warming Not Checked
https://www.apnews.c[...]
[39]
뉴스
UN Embarrassed by Forecast on Climate Refugees
http://www.spiegel.d[...]
2011-04-18
[40]
웹사이트
U.N.: Glaciers shrinking at record rate
http://edition.cnn.c[...]
2008-03-16
[41]
웹사이트
UNEP and Daimler Call for Infrastructure for Electric and Fuel-cell Vehicles
http://climate-l.org[...]
Climate-L.org
2010-06-16
[42]
웹사이트
UNEP-IRP Platform for Accelerating the Circular Economy (PACE)
http://www.globalbus[...]
2019-04-17
[43]
웹사이트
Why does working with regional seas matter?
http://www.unenviron[...]
2019-04-22
[44]
학술지
The Regional Seas Programme of UNEP
http://doc.rero.ch/r[...]
1982
[45]
웹사이트
UNEP/MAP
https://www.unep.org[...]
[46]
웹사이트
Faith for Earth Initiative
http://www.unep.org/[...]
2022-03-08
[47]
웹사이트
Faith for Earth: A Call for Action
http://www.unep.org/[...]
2022-03-10
[48]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s
https://www.un.org/e[...]
2022-03-19
[49]
웹사이트
Year of the Dolphin {{!}} CMS
https://www.cms.int/[...]
2022-03-19
[50]
웹사이트
Pop Superstar Nick Carter to Help Wild Dolphins and Oceans
https://www.newswise[...]
[5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ade on Biodiversity
https://www.cbd.int/[...]
2022-03-19
[52]
웹사이트
US Forest Service - International Year of Forests
https://www.fs.fed.u[...]
2022-03-19
[53]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Sustainable Energy for All - 2012
https://www.un.org/e[...]
2022-03-19
[5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Year of Water Cooperation
https://www.un.org/e[...]
2022-03-19
[55]
웹사이트
Home
http://www.fao.org/f[...]
2022-03-19
[56]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Light 2015
https://www.nature.c[...]
2014-07-31
[57]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Pulses 2016, 2016 International Year of Pulses
https://www.fao.org/[...]
2022-03-19
[58]
웹사이트
2017 International Year of Sustainable Tourism for Development {{!}} UNWTO
https://www.unwto.or[...]
2022-03-19
[59]
웹사이트
Home
http://www.fao.org/p[...]
2022-03-19
[60]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Fruits and Vegetables
http://www.fao.org/f[...]
2022-03-19
[61]
뉴스
46 nations call for tougher U.N. environment role
http://today.reuters[...]
2007-02-03
[6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pgraded to Universal Membership Following Rio+20 Summit - UNEP
http://www.unep.org/[...]
2013-02-06
[63]
웹사이트
First UNEA Session Adopts Resolutions and Decisions
https://sdg.iisd.org[...]
2024-11-01
[64]
웹사이트
Access to energy is Africa development key
https://www.eib.org/[...]
2021-06-07
[65]
웹사이트
About {{!}} Renewable Energy Performance Platform (REPP)
https://repp.energy/[...]
2021-06-07
[66]
뉴스
Under-fire UN environment chief forced back to HQ
https://www.theguard[...]
2018-09-27
[67]
뉴스
Nations halt funding to UN environment programme as outcry over chief grows
https://www.theguard[...]
2018-09-25
[68]
웹사이트
Website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http://www.unep.org
[69]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 Appoints Inger Andersen of Denmark Executive Director of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Following Election by General Assembly {{!}}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www.un.org/p[...]
2020-08-03
[70]
뉴스
編集委員が迫る UNEP事務局長 アヒム・シュタイナー氏 環境政策 まず人材不足克服
2012-11-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